
이 포스팅은 구름 에듀 강좌의 "Git으로 시작하는 협업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강의의 강사이신 "나동빈" 님의 자료임을 밝힙니다.
상업적인 의도가 아닌, 공부한 것을 정리해놓는 목적의 포스팅입니다.
edu.goorm.io/learn/lecture/11528/git으로-시작하는-협업-및-오픈소스-프로젝트/info
구름EDU -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구름EDU는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플랫폼입니다. 개인/학교/기업 및 기관 별 최적화된 IT교육 솔루션을 경험해보세요. 기초부터 실무 프로그래밍 교육, 전국 초중고/대학교 온라인 강의, 기업/
edu.goorm.io
안경잡이개발자
프로그래밍 강의를 진행하는 공간입니다.
ndb796.tistory.com
@ 분산형 협업 도구 Git | Git 을 왜 쓰는 것일까?
- 특정한 프로젝트를 동시에 작업 하기 위해서.
- 동일한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 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 Github(깃 저장소) | Github 특징
- 파일을 올리고 관리할 수 있다.
- 여러명이 공유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각종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누구에게나 공개 되며, 무료이다.
- 세계적으로 가장 큰 저장소이다.
@ 깃 설치하기
1. 운영체제에 맞춰 git 설치하기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2. 설치 확인

git --version
@ 깃 허브 사용하기
1. 가입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6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2. new repository (저장공간) 생성하기

우측 상단 + 버튼 누르고 New repository 클릭.

Create repository 클릭해서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준다.
3. 만든 repository 새로운 파일 올리기
> cmd 창을 열고 아까 만들었던 깃 닉네임과 email 을 입력해주자.

git cocnfig --global user.name 닉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 github 에 들어가서 내 레포지토리 주소를 복사한다.

> 이후 폴더를 하나 만들어 준다.
이 폴더에 있는 것은 내 레포지토리와 연동되어 공유된다.

> 만들어준 폴더에 들어가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뒤에 붙는 주소는 아까 복사한 git 주소이다.

git clone 깃 주소
// clone 은 다운받는 것과 동일하다. 빈 레포지토리를 clone 했다고 친절하게 경고해준다.

폴더 안을 보면, 우리가 지정한 레포지토리의 이름으로 폴더가 하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깃이 들어있는 장소를 로컬 레포지토리
깃허브 주소인 레포지토리를 원격지(리모트) 레포지토리라고 한다.
이제 파일을 올려보자.
> 아무 텍스트 를 만들어 우리의 로컬 레포지토리안에 넣어보자.

나는 git-tuto_01.txt 를 만들었다.

> add명령어로 레포지토리에 올려주고 commit 을 해준다.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메시지"
// commit은 마치 스냅샷의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나중에 프로젝트의 문제가 생길 시 원상태로 복귀를 하는 등의 목적으로 쓰인다.
push 를 해서 원격 레포지토리에도 파일을 올려보자.

git push

파일이 정상적으로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chive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 github ] Git 등장 배경 | Git 장점 | Git 쓰는 이유 (0) | 2021.02.18 |
---|---|
[ git & github ] 오픈 소스란 무엇인가 | 깃허브 contribute | 커뮤터란? (0) | 2021.02.18 |
[ Linux ] 리눅스 루트 디렉토리 | Linux Root Directory (0) | 2020.07.13 |
[ 정보보안산업기사 ] 2020정보보안 산업기사 필기 합격! (3) | 2020.06.14 |
[ 2020 정보보안산업기사 ] 2020 정보보안산업기사 후기 (4) | 2020.05.31 |